논문 투고 규정

제 1조(목적)

본 규정은 한국콘텐츠학회가 발행하는 영문논문지에 투고하는 논문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2조(자격)

논문 투고자는 본 학회 회원을 원칙으로 한다.

제 3조(원고)

콘텐츠에 관련된 학문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내용이거나 독창성이 인정되는 것이어야 하며, 국내외 타 논문지에 게재되었던 원고는 투고할 수 없다.

제 4조(분야)

투고 논문은 IT중심의 융합기술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한다.

제 5조(접수)

  1. 논문 접수는 수시로 하며, 접수일은 논문이 본 학회 사무국에 도착한 날로 한다. 형식상의 오류 또는 오자가 많거나 본 규정 제6조에 명기한 논문작성요령을 준수하지 않은 원고는 접수를 거부하고 이를 저자에게 통보한다.
  2. 접수된 논문에는 접수번호를 부여한 후 이를 대표저자(교신저자)에게 e-mail로 통지한다. 접수번호는 논문심사가 완료될 때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는데 사용되며, 저자가 투고 논문에 관해 논문지편집위원회에 문의할 때에는 반드시 이 접수번호를 이용하여야 한다.
  3. 투고 논문은 일반논문, 긴급논문으로 구분하여 접수한다.
  4. 심사용 원고는 MS-Word를 이용하여 작성한 후 연구윤리규정준수서약서, 저자체크리스트와 함께 e-mail 또는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하여 제출한다.

제 6조(논문작성요령)

  1. 원고는 영문으로 작성하되 문장의 첫 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다만, 고유명사나 약자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2. 논문의 첫 번째 페이지에는 제목, 성명(교신저자 및 공동저자), 소속기관 및 직위, 요약, 중심어를 기재한다. 이후에 논문의 본문, 연구비지원기관, 이해관계충돌선언, 참고문헌 순으로 작성한다. 교신저자는 논문의 교정, 독자로부터의 질의, 응답에 대한 책임을 지며, 출판 전 새로운 저자의 추가나 기존 저자의 탈락에 관한 결정도 가능하다.
  3. 제목은 집필 내용을 명확히 표시하여 반드시 영문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4. 요약은 본문의 내용을 함축한 간결한 형태로 150 단어 이내로 영문으로 작성한다.
  5. 중심어는 영문으로 5개 내외로 기입한다.
  6. 원고 중 장에 해당하는 번호는 1., 2., 3., …로, 절에 해당하는 번호는 1.1, 1.2, 1.3, …로, 항에 해당하는 번호는 1.1.1, 1.1.2, 1.1.3, ... 로 표기한다.
  7. 그림과 표는 선명하게 작성하여 본문 중에 위치를 정하고, 그림의 명칭은 하단 왼쪽에, 표의 명칭은 상단 왼쪽에 각각 Fig. 1. 및 Table 1.로 표기한다.
  8. 논문 내용에 직접 관련이 있는 문헌에 대해서는 관련이 있는 본문 중에 인용문 우측의 [ ] 안에 참고문헌 번호를 기재하고 그 문헌을 참고문헌에 인용 순서대로 기술한다. 참고문헌 작성시 논문을 인용한 경우 저자, 제목, 학술지명, 권, 호, 쪽수, 발행년도, doi, URI 순으로 기술한다.

A. Books

  1. M. Markel, Writing in the Technical Fields-A Step-by-Step Guide for Engineers, Scientists, and Technicians, IEEE Press, New York, 1994.

B. Periodicals

  1. Y. S. Park, B. N. Yoon, and J. H. Lim, "Comparing Fault Prediction Models Using Change Request Data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ETRI Journal, vol. 21, no. 3, pp. 6-15, Sep. 1999,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2. M. M. Chiampi and L. L. Zilberti, "Induction of electric field in human bodies moving near MRI: An efficient BEM computational procedure," IEEE Trans. Biomed. Eng., vol. 58, pp. 2787-2793, Oct. 2011,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3. R. Fardel, M. Nagel, F. Nuesch, T. Lippert, and A. Wokaun, "Fabric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ixels by laser-assisted forward transfer," Appl. Phys. Lett., vol. 91, no. 6, Aug. 2007, Art. no. 061103,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4. J. Zhang and N. Tansu, "Optical gain and laser characteristics of InGaN quantum wells on ternary InGaN substrates," IEEE Photon. J., vol. 5, no. 2, Apr. 2013, Art. no. 2600111,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5. W. P. Risk, G. S. Kino, and H. J. Shaw, "Fiber-optic frequency shifter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incident at an oblique angle," Opt. Lett., vol. 11, no. 2, pp. 115-117, Feb. 1986,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Online] Available: http://ol.osa.org/abstract.cfm?URI=ol-11-2-115

C. Conference Paper (or Paper Presented at a Conference)

  1. D. Caratelli, M. C. Viganó, G. Toso, and P. Angeletti, "Analytical placement technique for sparse arrays," presented at the 32nd ESA Antenna Workshop, Noordwijk, The Netherlands, Oct. 5-8, 2010,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2. T. Schubert, "Real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validating system-on-chip high level formal verification of nextgeneration microprocessors," in Proc. 40th Design Automation Conf. (DAC'03), Jun. 2-6, 2003,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Online] Available: http://www.computer.org/csdl/proceedings/dac/2003/2394/00/2394001-abs.html
  3. A. Amador-Perez and R. A. Rodriguez-Solis, "Analysis of a CPW-fed annular slot ring antenna using DOE," in Proc. IEEE Antennas Propag. Soc. Int. Symp., pp. 4301-4304, Jul. 2006, doi: http://dx.doi.org/10.1000/0-000-00000-0.

D. Dissertations or Thesis

  1. J. O. Williams, "Narrow-band analyzer," Ph.D. dissertation, Dept. Elect. Eng., Harvard Univ., Cambridge, MA, USA, 1993.
  2. N. Kawasaki, "Parametric study of thermal and chemical nonequilibrium nozzle flow," M.S. thesis, Dept. Electron. Eng., Osaka Univ., Osaka, Japan, 1993.
  3. N. M. Amer, "The effects of homogeneous magnetic fields on developments of tribolium confusum," Ph.D. dissertation, Radiation Lab., Univ. California, Berkeley, Tech. Rep. 16854, 1995.

E. Manuals/Software

  1. L. Breimann, Manual on Setting Up, Using, and Understanding Random Forests v4.0. (2003). Accessed: Apr. 16, 2014. [Online] Available: http://oz.berkeley.edu/users/breiman/Using_random_forests_v4.0.pdf
  2. M. Kuhn, The Caret Package. (2012). [Online] Available: http://cranrproject.org/web/packages/caret/caret.pdf
  3. Antcom, Torrance, CA, USA. Antenna Products. (2011). Accessed: Feb. 12, 2014. [Online] Available: http://www.antcom.com/documents/catalogs /L1L2GPSAntennas.pdf
  4. Antenna Products. (2011). Antcom. Accessed: Feb. 12, 2014. [Online] Available: http://www.antcom.com/documents/catalogs/L1L2GPSAntennas.pdf
  5. Ngspice. (2011). [Online] Available: http://ngspice.sourceforge.net

F. Standards

  1. IEEE Std. 1394, IEEE Standard for a High Performance Serial Bus, IEEE, Piscataway, N.J., 1995.
  1. 논문과 관련된 연구비지원기관을 기재할 수 있고 이해관계 충돌 (conflict of interest)의 유무를 기재한다.

제 7조(심사료)

논문심사료는 일반논문의 경우 80,000원, 긴급논문의 경우 200,000원을 논문 접수시에 납부한다.

제 8조(채택)

  1. 영문논문지 논문심사 규정에 따른 심사과정을 거쳐 영문논문지편집위원회의 게재승인이 난 논문의 저자는 최종 수정 논문과 지적소유권위임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 9조(논문게재)

논문의 게재는 심사에 통과한 논문에 한하여 접수 순서대로 게재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투고자의 긴급게재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논문의 게재순서가 당호에 해당되지 않아도 논문지편집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당호에 추가로 게재할 수 있다.

제 10조(게재료)

논문게재료는 영문논문지가 scopus에 등재될 때까지 그 징수를 유보한다.

제 11조(저작권)

  1. 게재된 논문은 지적소유권위임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지적소유권을 학회에 위임한다.
  2. 게재된 논문은 본 학회의 승인없이 무단 복제할 수 없으며 지적소유권 위임은 복사, 재판, 번역, 그리고 마이크로필름, 전자적 형태 및 이와 유사한 형태의 복제를 포함한 논문의 배포와 복제에 대한 모든 관리를 포함한다.
  3. 투고된 논문은 컴퓨터상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제 12조(시행일)

본 규정은 이사회에서 의결된 날부터 시행한다.

제정 : 2005년 1월 1일

1차 개정 : 2005년 5월 20일 / 2차 개정 : 2007년 6월 1일 / 3차 개정 : 2008년 12월 31일 / 2015년 10월 23일 / 5차 개정 : 2019년 12월 13일

논문지 이미지 품질 관리

  • 일반사진

    홈페이지에서 캡처 받거나 다운받는 경우 이미지 해상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논문의 가독성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가능하면 홈페이지 등에서 사진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 주시고, 원본을 150 dpi 이상으로 스캔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캡처 이미지

    캡처를 받을 때 크게 캡처 받은 것을 논문사이즈에 맞추어 임의적으로 줄이는 경우 해상도에 손상이 많습니다.
    캡처 받을 때 논문에 삽입할 크기인 가로 6cm(논문의 가로 길이임, 세로는 가로 비율에 맞춤)에 맞추어 캡처 받아야 글씨와 이미지를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컬러 이미지

    컬러 이미지는 인쇄 시 흑백으로 표현되면서 원래 흑백 이미지보다 선명도가 다소 떨어집니다.
    흑백으로 인쇄하는 경우는 가능하면 흑백 이미지으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 스캔 받은 이미지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을 받을 경우에 해상도를 150 dpi 이상으로 받아주십시오.
    스캔 받는 그림인 경우 디지털 인쇄 시 그림자 때문에 원본이 조금 더 희미해지는 점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